728x90

분류 전체보기 430

[PLM] E-BOM(설계 부품표)과 M-BOM(제조 부품표)의 관계성

※ 2016년도의 일본의 한 블로그 포스팅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과 직역이 있을 수 있으며, 현재와 내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E-BOM과 M-BOM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아래의 네 가지이다. (1) 품목 코드의 불일치 (2) 대체부품의 사용 (3) 부자재나 포장소재의 추가 (4) 설계 변경의 발생과 재료 품절 타이밍의 불 일치 이러한 E-BOM, M-BOM의 분단의 배경에는 설계 부문(본사)와 제조부문(공장)의 조직적 괴리의 영향이 있다. 원래 현대의 BOM개념은, 즉 스트럭처(구조형) BOM의 개념읜 1960년대에 탄생했다. 이 개념은 MRP이라는 생산관리 방법과 함께 확립됐다. 즉 제조을 강력히 의식한 것이 현재의 M-BOM에 상응하는 것이다. 그럼 E-BOM의 원형에 대해 ..

IT/PLM시스템 2021.01.26

XPATH 사용법·작성법

※ 일본의 블로그 글을 번역한 포스팅입니다. 오역 및 직역이 있을 수 있으므로 내용 지적 언제나 환영합니다. 초급편 XPath란? XPath는 XML문장 속의 요소, 속성 등을 지정하기 위한 언어이다. XPath에는 XML문장을 트리로서 다루기 때문에, 요소나 속성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HTML도 XML의 일종으로 간주 될 수 있으므로, XPath를 사용하여 HTML문장의 요소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 원피스 iQON 12,000원 10,000원 위와 같은 HTML의 경우라면, 아래와 같이 트리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XPath는 이러한 트리 구성으로 부터 요소를 얻어낸다. XPath의 기초 XPath는 로케이션 패스에의해 표현된다. 로케이션 패스란 트리구조로부터 특정 ..

IT/WEB 2021.01.13

[IT 회사 생활] 엔지니어의 직무 경력서 작성법

※ 일본의 블로그 글의 번역한 포스팅입니다. 오역 및 직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주보이는 정보가 부족한 직무경력서 채용을 결정하는 매니저가 엔지니어가 아닌 경우나 자세한 내용을 잘 모르는 기술일 경우, 기술에 관련해서 임의로 평가할 수 밖에 없다. 기술을 잘 모를 때 체크되는 항목은 아래와 같다. - 프로그래밍 언어 - 참가한 프로젝트 - 담당 공정 - 기간, 키워드와 숫자 그러므로, SI계의 경력 포맷은 위의 항목에 최적화되어 있는 경력서를 보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기술에 대해 분명히 말할 수 있는 틀이 좁으니까 말이다. 사실상 직무경력에는 포맷이 없다! 그러므로 자신의 일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는 포맷을 자기 스스로 만들어보자. Word여도 Excel 혹은 GitHub여도 상관없다 (작가는..

[PLM] PDM이란?

이 포스팅을 통해서 "PDM이란 무엇인가", "주요 기능이나 도입 메리트", "도입을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포인트", "PDM과 PLM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PDM (Product Data Management)이란? PDM이란 설계시에 작성하는 CAD등의 제품 데이터나 BOM(제품표) 등의 설계 기술에 관해 정보를 일괄 관리하는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이다. 설계에서는 CAD를 사용하는 것일 일반적이지만, CAD이외의 제품 데이터도 다수 존재한다. 사양서등의 문서, 설계 데이터, 설계나 생산 일정등, 작성 어플리케이션도 다른 데이터가 방대하여 관리가 힘들다. 그러나 PDM을 도입하여 제품마다 데이터를 일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DM의 기능 PDM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이 있다. 1..

IT/PLM시스템 2021.01.07

[PLM] PLM이란?

※ 일본 블로그의 글을 번역한 글이므로, 오역 및 직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내용 지적 언제든 환영합니다.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이하PLM)이란 PLM이란 제조업에 있어 value chain(영업-설계-제조-품질보증-서비스) 의 각 공정에서 관리되고 있는 부품과 관련된 기술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전공정에서 모순이 없는 데이터의 공통 이용을 실현 시스템이다. PLM은 부품 데이터인 BOM(부품표)이 중심이 된다. 부품은 설계의 BOM (부품표)로 모두 표현 가능하다. 설계 업무에서 작성하는 BOM을 E-BOM이라고 하고, 제품 구성·제품특성(자재, 형태 등) 등 부품의 구성·특성 정보를 모두 갖고 있다. 이 E-BOM은 제조·애프터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의 원천이다. ..

IT/PLM시스템 2021.01.06

[PLM] BOM이란?

※ 일본 블로그의 글을 번역한 글이므로, 오역 및 직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내용 지적 언제든 환영합니다. BOM(Bill Of Material: 자재 명세서, 이하 BOM)란 무엇인지 기초적인 지식부터 복잡해진 현대의 제조업에 있어 BOM이 필수불가결해진 이유, 그리고 BOM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능까지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BOM이란? 그리고 차세대 BOM에 대해 2017년부터 제조업에서 떠오른 키워드인 "IoT"와 "AR"를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방향으로 포커스가 이동됐다. 그러나 실제로 이와 같은 최신 기술이나 새로운 프레임 등을 제품 개발의 환경에 적용하려고 하면, 중요해지는 것이 "제품의 정보가 제대로 정리 정돈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이러한 제품 ..

IT/PLM시스템 2021.01.06

2020년을 되돌아보며 세운 2021년 목표

수정 이력 [2021/1/4] 신규 작성 [2021/2/3] 1월 결과 반영 [2021/3/2] 2월 결과 반영 [2021/4/5] 3월 결과 반영 [2021/4/22] 4월 결과 반영 [2021/6/2] 5월 결과 반영 [2021/7/5] 6월달 결과 반영 [2021/8/3] 7월달 결과 반영 [2021/9/6] 8월달 결과 반영 [2021/10/4] 9월달 결과 반영 나의 2020년 지난해에 그랬듯 올해도 지난 2020년 한 해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한다. 지난해는 5월까지 체크하고 말았지만, 올해는 한 달마다 갱신해 볼 예정이다. 1. 지난 2020년 목표 달성여부 확인 2020년에는 총 19개의 목표를 설정했으며, 단기(~3개월)는 10개, 중기(4~6개월)는 3개, 장기(6개월 이상)..

AWS 인증 클라우드 실무자 (AWS 認定クラウドプラクティショナー) - (3) 시험 결과 및 소감

미루고 미뤘던 AWS 인증 클라우드 실무자 시험을 12월 24일에 치뤘다. 결과는 1000점 만점 중 720점으로 합격(700점 이상일 경우 합격). 준비 방법과 이렇게 준비했으면 더욱 안정적이고 단기간에 합격했을 것 같았는데와 같은 반성에 대해 작성해보고자 한다. 시험에 대한 기본 정보는 이전 포스팅에 자세히 기록해두었으니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1. 결과 qitta에 시험 수기를 보면 남들은 30분만에 문제를 다 풀고 합격했다고 했는데, 나는 1시간 30분을 거의 다 채웠다. 왜냐하면 내가 체크한 답들에 대한 확신이 문제의 50%도 안됐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제를 풀면서 이건 절대 불합격이다라고 생각하고 체념했는데 턱걸이로 합격하게 됐다. 2. 시험 당일의 흐름 이번에는 가부키쵸 테스트 센터에서 시..

IT/자격증 2020.12.30

AWS 인증 클라우드 실무자 (AWS 認定クラウドプラクティショナー) - (2) 개념 정리 ; 모의고사 출제 개념

오랫동안 AWS 공부를 하지 않아 다 잊어버렸기에 모의고사 치면서 출제된 개념과 내용 위주로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서비스 개념 및 설명 CloudFront 1. 데이터, 영상, 어플리케이션 및 API를 모든 개발자들이 사용하기 쉬운 환경으로, 낮은 레이턴시의 고속 전송에 의한 세계 어디에서도 콘텐츠를 안전히 배송하는 고속 컨텐츠 배송 네트워크 (CDN) 서비스 2. API 클라이언트가 세계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는 API Gateway로 엣지 최적화된 API 엔드포인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엔드포인트는 클라우드의 접속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AWS 관리형의 CloudFront 웹 디스트리뷰션(속성) 내부에 CloudFront 구성을 사용하고 있다. 3. Lambda@Edge Amazon CloudFr..

IT/자격증 2020.12.15

[JavaScript] Object.assign에 대한 이해

Object.assign을 이용해서 객체를 합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합칠 때는 2개의 객체가 같은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다면 그 값을 덮어쓰기 해주며, 객체의 복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Object.assign는 폼(form)등에 빈번히 이용되므로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아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이해해둘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Object.assign()기본 조작과 폼의 값을 유지의 예를 이용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오브젝트를 합친다. 2개의 객체를 준비하여 Object.assign으로 합치면 어떠한 결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자. const target = { a: 1, b: 2} const source = { c: 3, d: 4} const returnedTarget = Object.assign(t..

IT/언어 2020.11.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