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430

[C#] C#의 Dictionary (사전형) 데이터 사용법

Dictionary이란 Dictionary에서는 Key라고 불리는 인덱스 번호를 대신해 사용하는 명칭과 Value라고 불리는 값을 세트로 다룬다. 참고로 Key와 Vlaue 세트로 다루는 배열을 "연관 배열"이라고 부른다. C#에서 연관 배열을 다루기 위한 클래스가 Dictionary클래스이다. Dictionary클래스에서는 Key를 사용하여 Value의 값을 취득한다. 덧붙여 중복된 Key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하자! List와의 차이점 List는 인덱스 번호를 사용하여 요소의 값을 얻는다. 그에 반해 Dictionary는 앖서 말했는 Key값을 사용하여 Value를 취득하므로, 숫자이외의 문자열 등을 키로 지정하여 세트의 값을 뽑아낼 수 있다. 항목과 그 값이 세트 데이터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

IT/언어 2021.03.06

AWS SAA-C02 - (1) 개념 정리 ; 자주 헷갈리는 내용 간단 메모

※ 일본 IT회사를 다니면서 일본 자료 위주로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다를 수 있으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원포인트 S3 ○ 기본 설정으로 성능의 최대화가 가능. ○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어플리케이션상, 복수의 도메인으로부터 콘텐츠 액세스를 유효화. → Ajax통신을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구축 가능. ○ 특정 IP어드레스로부터의 액세스는 IAM롤에서 설정. SG에서는 제어불가. ○ 기본으로 고가용성 문제로 1개의 AZ에 의존하지 않음. ○ S3의 크로스 리전 레플리케이션이란 S2의 오브젝트를 다른 리전의 버켓에 자동 복제하는 서비스로, 오브젝트의 등록과 동시에 실행됨. ○ 서버 사이드의 암호화는 SSE-S3 (암호화 방식은 AES-256)...

IT/자격증 2021.02.22

[C#] C# 기본 문법

구조 1. 네임 스페이스의 사용 using 디렉팅을 사용하는 것으로, 네임 스페이스의 멤버를 생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의 네임 스페이스에 대해서는 이 블로그를 참조) using System; 2. 네임 스페이스의 지정 namespace 네임스페이스 { } 3. 클래스 [public|private|protected|internal] class 클래스명 { } 4. 메소드 [public|private|protected|internal] [static] 리턴데이터형 메소드명([인수]) { return; } 5. Main 함수 .exe프로그램의 엔트리 포인트(;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가장 처음에 실행되는 곳). ① Main은 static이여야한다. ② 리턴값은 void 혹은 int이다. ..

IT/언어 2021.02.16

[PLM] Aras Innovator 서버 메소드 작성법(C#)

1. Aras Innovator Object 생성하기 newReuslt()나 newError() Item의 return값으로 얻기 위한 Aras Innovator Object Innovator myInnovator = this.getInnovator(); 2. Item Object 생성하기 적용할 query나 Item을 추가하는 Item Object 생성하기 Item myItem = this.newItem(myItem, myAction); Innovator myInnovator = this.getInnovator(); Item myItem = myInnovator.newResult(resultText); Item myError = myInnovator.newError(errorMessage); 3. 하나..

IT/PLM시스템 2021.02.16

[PLM] Aras Innovator의 메소드 작성법

※ 일본 Aras 공식 블로그의 튜토리얼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오역 및 직역이 있을 수 있으며 내용 오류 지적 환영합니다. 1. 메소드 인터페이스 ① 명칭(名称):메소드의 명칭을 입력(필수). 대소문자를 구분함. ② 코멘트(コメント): 메소드의 목적이나 설명 등을 입력. ③ 실행허가(実行許可) :이 메소드의 실행을 허가하는 아이덴티티를 지정. ④ 메뉴바(シールバー) :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예정. ⑤ Code Guide : IOM의 간단 가이드. 상세 가이드는 "API Reference"에서 확인 가능. ⑥ Help/Debug : "Help" 태그에는 Code Guide에서 선택된 클래스 등의 헬프 내용이 표시되며, "Debug" 태그는 컴파일 에러가 표시됨. 4번의 메뉴바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이미지..

IT/PLM시스템 2021.02.14

[PLM] Aras Innovator의 AML이란?

이번에 Aras Innovator이용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는데 한국에서는 PLM시스템으로 Aras Innovator을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듯하다. 검색해보면 한국어 자료는 거의 0건에 가까웠다. 일본에서는 Aras Innovator를 커스터마이즈해서 PLM시스템을 만들어서 의뢰한 제조기업에 납품하는 경우가 꽤 있어서 그런지 일본어 자료는 어느정도 존재했다. 따라서 공부겸 당분간 일본 Aras Innovator 공식 블로그에 올라 온 튜토리얼의 시리즈 일부(특히 내가 필요한 자료 위주)를 번역하여 업로드할 계획이다. 1. AML이란 AML이란 "Aras Markup Language"의 약어로 Aras의 도자적인 XML 스키마(문법과 비슷한 것)이다. 아이템의 검색이나 신신규 작성, 갱신, 특수..

IT/PLM시스템 2021.02.12

[IT 회사 생활] 신입 엔지니어가 1년간 익혔으면 하는 능력

※ 일본 블로그 글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 및 직역이 있을 수 있으며 내용 오류 지적 환영합니다. 이번 글을 6년차 서버 엔지니어가 3개월간 신입사원을 연수시키면서 신입사원이라면 1년간 이런 능력은 반드시 길렀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1. 커뮤니케이션 스킬 신입이 제일 익히길 바라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스킬이다. 여기서 내가 생각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이란 상대의 의견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정확히 상대에게 전달하는 능력으로, 이러한 능력이 없다면 선배가 도와줄 때 곤란해진다. 2. 질문 방법 신입이라면 좋은 질문법을 익히길 바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 15분정도 안 풀리면 질문하기 신입이 스스로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하긴 하지만, 어느 적정선에서 고민을 끝내고 ..

사내 스터디 그룹 운영록

2월 부터 4월 마지막 날까지 약 3개월간 사내에서 그룹장으로서 스터디 그룹을 진행하게 됐다. 스터디 그룹을 모집하게 된 계기는 혼자 공부하는 기간이 길어지니 계획대로 공부하는 날이 현저히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주에 사내 Teams에 글을 쓰고 모집 기간은 일주일로 잡았다. 원래 모집하려고 했던 인원은 나를 포함해서 4명이지만, 3명에 그쳤다. 아무튼 이번에 진행하려고 하는 스터디 그룹은 동일한 주제로 공부하는 것이 아닌, 각자 원하는 공부, 예를 들어 자격증 취득이나 본인이 현재 읽으려고 하는 IT 책의 내용을 이해하거나하는 등을 하지만 매일 오늘의 공부 목표와 자기가 공부한 부분을 멤버들이랑 공유하여 혼자 공부했을 때보다는 계속해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가벼운 느낌의 스터디 그룹이다. 그러나 단순히..

[python] python 디버깅할 때 print가 아닌, Icecream을 사용하면 편리

print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경우 아래의 코드를 예시로 살펴보자. num1 = 30 num2 = 40 print(num1) print(num2) 그렇다면 출력은 아래와 같이 될 것이다. 30 40 출력 결과를 봤을 때, 30과 40이 각각 num1에 대응되는 값인지 num2에 대응되는 값인지 바로 판별 할 수 있는가? 물론 이와 같이 출력 변수가 적은 상태라면 바로 대응되는 변수명을 떠올릴 수 있지만, print로 출력하는 것이 5개 이상 넘어가는 경우 일일히 다시 대응시켜야 하는 귀찮음이 있다. 따라서 이럴 경우 일일히 문자열을 붙여서, 즉 아래와 같이 작성해서 print문으로 출력해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num1 = 30 num2 = 40 print('num1', num1) print('num2..

IT/언어 2021.01.28

[PLM] E-BOM 과 M-BOM의 차이

E-BOM과 M-BOM의 정의 먼저 간단히 두 개념의 정의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자(일본 블로그의 글들을 엮어 번역·정리한 것이라, 한국의 제조업에서 사용하는 말과 다를 수 있다). E-BOM (Engineerng BOM, 설계부품표) 개발·설계단계에서 이용된다. 부품이나 모듈의 사양, 설계 정보(도면 데이터), 기술 정보 등이 표시되므로, 부품이나 모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M-BOM (Manufacturing BOM, 제조부품표) 제품의 조립에 필요한 부품을 리스트로 표시한 것이다. 제조(가공·조립·외주)에 필요한 부품, 재료 정보와 공장 정보를 표시하고 생산 스케줄이나 생산 지표, 공정 관리, 부품 준비(공급 업체에 발주 넣는 타이밍)에 활용된다. 바로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

IT/PLM시스템 2021.01.27
728x90